AMPK효소 생화학전 기전, 세포 및 장기에서 역할
- 학문/약물학
- 2019. 12. 9.
이번 포스팅은 AMPK의 생화학적 기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
AMPK의 구조
AMPK는 AMP-activated protein kinase로 세포 내에서 에너지 항상성에 관여하는 효소입니다. AMPK는 다음과 같이 알파, 베타, 감마 총 3가지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AMPK는 AMP/ATP 비율에 따라 활성이 정해지는데, AMP가 AMPK에 붙으면 활성형입니다. AMPK의 아미노산 중 Thr172에 인산화가 되면 AMPK의 활성이 강해집니다.

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AMPK는 세 소단위체인 알파, 베타, 감마로 구성되어 있으며, AMP가 붙었을 때 활성화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AMPK의 Thr 172에 인산화가 되면 AMPK활성이 증가합니다.
AMPK의 주역할은 영양학적 스트레스나 운동으로 유발된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것입니다.
AMPK의 세포속에서 역할

1. AMPK는 PFK2를 활성화해 심근세포에서 포도당의 대사(glycolysis)를 촉진한다. (ATP생성)
PFK2 : phosphofructokinase2의 약자로 glycolysis의 key enzyme 중 하나이다.
2. GLUT1,4를 활성화해 포도당을 세포 안으로 수송한다.
GLUT : glucose transporter
3. FAS와 ACC1을 저해하여 지방산 합성을 막고, 지방산의 대사(fatty acid oxidation)를 촉진한다. (지방산으로 ATP 생성)
FAS : fatty acid synthase의 약자로 지방산(fatty acid)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이다.
ACC : acetyl-CoA carboxylase의 약자로 biotin-의존성 효소이다. ACC는 acetyl-CoA를 malonyl-CoA로 전환한다.
4. HSL를 억제하여 지방분해를 억제한다. - 지방세포에서
HSL : hormone sensitive lipase
5. HMGR를 억제하여 콜레스테롤과 isoprenoid합성을 억제한다. - 간에서
HMGR : HMG-CoA reductase
6. GPAT를 억제하여 중성지방(triglyceride) 합성을 억제한다.
GPAT : glycerol-3-phosphate acyltransferase
7.GS를 억제하여 글루코겐 합성을 억제한다.
GS : glycogen synthase
8.eEF-2, mTOR(세포 성장인자)를 억제하여 단백질 합성을 막는다.
AMPK의 장기에서 역할

- 간에서 당신생 합성이 저해되어 혈액으로 포도당 분비가 줄어들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억제한다.
- 간에서 지방산, 콜레스테롤 합성을 막는다.
- 지방세포에서 지방산 합성과 지방의 분해를 억제한다.
- 심장에서 지방산의 대사를 촉진하고 심장으로의 포도당 수송과 포도당 대사를 촉진한다.
- 골격근에서 지방산 대사를 늘리고 골격근으로의 포도당 수송을 촉진한다.
참고자료
Recent progress in the identification of adenosine monophosphate-activated protein kinase (AMPK) activators
The Role of AMP-Activated Protein Kinase as a Potential Target of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
Basic & clinical pharmacology 14th edition / 범문에듀케이션
Goodman & Gilman'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
'학문 > 약물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세트아미노펜(타이레놀)이 간독성을 일으키는 기전 by 공부하는 약대생 '공약' (feat.술먹고 타이레놀은 안돼요.) (0) | 2020.02.11 |
---|---|
알프람 정 : 낭만닥터 김사부에서 나오는 알프라 정 ! 알프라졸람 작용기전과 효과는? by 공부하는 약대생 '공약' (0) | 2020.01.20 |
알코올 대사과정과 알코올성 지방간이 생기는 기전 (0) | 2019.12.30 |
콜레스테롤 항상성? 어떻게 조절되는가? SREBP과 LXR로 설명하자 (6) | 2019.12.12 |
메트포르민(Metformin)의 작용기전 (4) | 2019.12.08 |